본문 바로가기
Reading

[Book]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드러커를 읽는다면

by 별곰곰 이슈 2024. 9. 9.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드러커를 읽는다면 / 이와사키 나쓰미 지음

 

피터 드러커는 경영학자이자 작가이다.

경영관리의 방법을 체계화시켜 현대 경영학을 확립했다.

 

이 책은 피터 드러커의 경영관리를 야구 매니저가 야구부에 어떻게 적용해 나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는다.

피터 드리커의 경영학을 예시 소설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피터 드리커의 경영서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 책으로 많은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조직에서 사람을 어떻게 매니징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나의 경우에도 어떤 부정적인 팀원 한 사람으로 전체 조직의 분위기가 부정적으로 흘러가는 것을 경험했고 공통된 목적을 만들어 가는 것 각 팀원의 장점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매니징 하는 부분들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사실 조직에서는 일 보다 사람이 더 힘들다. 구성원의 장점, 단점, 이력 등을 파악하여 조직을 구성하고 업무를 할당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통'이라는 것이 기본으로 깔려야 한다.

대부분의 조직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은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이다.

부서와 부서와의 소통, 담당자와 담당자간의 소통, 팀장과 팀원의 소통, 경영진과 직원들 간의 소통, 그리고 가장 중요한 고객과의 소통 등 조직이 커질수록 소통은 더 힘들어진다. 

결국 이 소통이 얼마나 잘 되는지에 따라 결과와 성과는 달라진다.

가이드는 쉬울 수 있으나 내 조직에서 방법을 찾고 적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일 것이다.

매니저로써 어떤 역할을 해야하고 어떤 목표를 가져야 하는지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독서 노트]

 

모든 조직에서 공통된 관점, 이해, 방향 설정, 노력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사업은 무엇인가? 무엇을 해야 하나를 반드시 정의해야 한다. 

 

사업은 고객에 의해 정의된다. 외부, 즉 고객과 시장의 관점에서 보아야 비로소 답을 찾을 수 있다.

 

그 부원이 자아내는 분위기가 야구부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제품이 무엇인지로부터 출발한 게 아니라 바로 '고객으로부터 출발'하려고 한 행동이었다.

 

매니지먼트는 생산적인 일을 통해 일하는 사람들이 성과를 올리게 해야만 한다.

 

일한 보람을 느끼게 하려면 일 자체에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1)생산적인 일 2)피드백 정보 3)지속적인 학습이 필수이다.

 

매니저는 전문가의 윗사람이 아니다. 도구이자 가이드이며 마케팅 에이전트다. 거꾸로 전문가는 매니저의 상사가 될 수 있고, 상사가 되어야 한다.

 

사람을 활용한다는 것은 매니지먼트의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이다.  사람을 매니지먼트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장점을 살리리는 일이다

 

누군가를 고용하는 까닭은 그 사람이 지닌 장점이나 능력 때문이다. 조직의 목적은 사람의 장점을 생산으로 연결하고, 그 사람의 약점을 중화시키는 것이다. 

사람이 최대의 자산이다.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도쿄 호도쿠보 고등학교(일명 호도고)에 다니는 가와시마 미나미는 아픈 친구를 대신해 야구부의 매니저(부 운영을 돕는 보조원) 일을 맡게 된다. 호도고 야구부는 20년 전 딱 한번 고시엔 대회 16강에 진출한 이래 이렇다 할 성적을 내 본 적이 없는 만년 하위팀. 사정이 이렇다보니 연습에 제대로 참가하는 부원도 없고 당연히 팀 분위기도 엉망이다. 미나미는 매니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서점 직원이 추천한 피터 드러커의 [매니지먼트]를 구입하게 된다. 야구 매니지먼트에 대해 쓴 책이라고 착각한 것이다. 알려진대로 피터 드러커는 재계에 신봉자가 많은 ‘기업경영의 신’으로, [매니지먼트]는 그들에게 바이블과 같은 책이다. 당연히 야구와는 관련이 없는 책이다. 하지만 [매니지먼트]를 읽은 미나미는 이 책에 적힌 기업경영(조직관리)의 지침들을 하나하나 야구부에 적용해 보기로 한다. “재능보다 중요한 것은 진지함이다” “변화를 원할 때는 기본으로 돌아가라” “관중을 움직이는 것은 감동이다” “사람의 장점을 살려 조직을 움직여라” 드러커는 경영에 있어서 ‘고객 창조’와 ‘이노베이션’ ‘리더의 자질’을 끊임없이 역설해왔다. 미나미 역시 이 책에 따라 야구부에 있어서의 ‘고객’과 ‘이노베이션’ 그리고 ‘진정한 리더십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한다. 고교 야구부 역시 여러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조직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절대 변할 것 같지 않았던 호도고 야구부는 서서히 변화를 겪으며 고시엔 대회 진출을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간다. 그리고 마침내 결승전, 올 봄 고시엔 대회에 출전한 우승 후보인 상대팀을 맞아 만년 하위팀 호도고는 기적을 이룰 것인가?
저자
이와사키 나쓰미
출판
동아일보사
출판일
2022.07.21

 

728x90
반응형

'Re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이처럼 사소한 것  (10) 2024.09.04
[Book]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  (8) 2024.09.03
[Book]비가 오면 열리는 상점  (0) 2024.04.01
[Book]이처럼 사소한 것들  (1) 2024.03.12
[Book]작별인사 / 김영하  (0) 2024.02.28